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5 출산 휴가급여 지원금, 받을 수 있는 금액 신청방법

2025년 출산휴가급여 지원금 받을 수 있는 금액
2025년 출산 휴가급여 지원금, 받을 수 있는 금액, 신청방법
  • 지원 대상: 고용보험 가입 여성 근로자의 출산전후휴가 90일(다태아 120일) 사용 시 급여 지원
  • 지급 기준: 평균임금 100% 산정, 상·하한액 적용 (월 상한 약 210만 원, 90일 총 630만 원 기준)
  • 신청 기한: 출산휴가 종료 다음날부터 12개월 이내 (기한 경과 시 원칙적으로 미지급)
  • 신청 경로: 고용보험(EI) 온라인·모바일 또는 관할 고용센터/주민센터
  • 확인 방법: 고용보험 마이페이지·접수증으로 처리상태 확인, 승인 시 계좌 입금

1. 출산 휴가급여 신청 방법

출산휴가급여(출산전후휴가급여)는 고용보험(EI)을 통해 온라인·모바일로 간편 신청하거나, 관할 고용센터/주민센터에서 방문 접수할 수 있습니다. 회사가 출산전후휴가 확인서를 선등록하면 1회차부터 온라인 신청이 가능해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온라인/모바일: 고용보험 사이트/앱 로그인 → 개인서비스 > 모성보호 >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 → 증빙(출생증명서, 휴가 사용내역 등) 업로드 → 제출

방문 접수: 거주지 또는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 방문 → 신청서·구비서류 제출 → 접수증 수령(처리 결과는 문자/마이페이지)

고용보험(EI) 바로가기

2. 출산 휴가급여 신청 대상 조건

근로기준법 및 고용보험법에 따라, 고용보험 가입 여성 근로자출산 전후 총 90일(다태아 120일) 휴가를 사용하면 급여가 지원됩니다. 이 중 출산 후 최소 45일(다태아 60일)은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며, 사업장에 정식으로 출산휴가를 신청·사용한 기록이 필요합니다.

분류 핵심 요건 비고
일반 근로자 고용보험 가입 + 출산전후휴가 90일 사용 출산 후 최소 45일 확보
다태아 고용보험 가입 + 출산전후휴가 120일 사용 출산 후 최소 60일 확보
대규모기업 최초 60일(다태아 75일) 유급 의무 마지막 30일(45일) 정부 지원
우선지원대상기업 휴가 전기간 정부 지원(상한 적용) 사업주 차액 보전 의무 有

※ 고용형태가 특수·프리랜서 등인 경우에는 별도 제도(예: 예술인·노무제공자 출산전후급여 등) 또는 유형별 전용지원을 확인하세요.

 

출산 휴가 급여 신청방법 출산 휴가급여 신청 대상 조건
출산 휴가급여 신청 방법 및 대상 조건

3. 출산휴가급여 평균 지급금액

원칙적으로 평균임금의 100%를 기준으로 산정하며, 매년 상·하한액이 고시됩니다. 2025년 현재 안내 기준으로는 월 상한 약 210만 원, 90일 기준 총 630만 원 한도가 일반적입니다. 실제 지급액은 평균임금, 사업장 규모, 사용일수(분할/미사용)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평균임금(예시) 적용 예상 지급액(월)
150만 원 100% 적용 150만 원
200만 원 100% 적용 200만 원
240만 원 상한 적용 약 210만 원

4. 출산휴가 급여 신청 기한

출산전후휴가 종료일 다음 날부터 12개월 이내 신청이 원칙입니다. 기한을 넘기면 지급이 제한되며,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예외가 인정됩니다. 휴가 종료일을 기준으로 본인 캘린더에 리마인더를 설정해 두세요.

5. 출산휴가급여 신청 확인 방법

온라인 신청은 고용보험 마이페이지에서 접수·심사·지급 단계를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접수 시 발급된 접수증과 문자 알림으로 진행 상황을 확인하며, 승인 후 신청 계좌로 자동 입금됩니다.

6. 출산 휴가급여 신청 자주 묻는 질문

Q. 프리랜서·특고도 가능한가요?
A. 고용보험 미적용자라도 예술인·노무제공자 등 대상의 별도 제도가 있으니 해당 유형 안내를 확인하세요.

Q. 다태아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A. 휴가기간 120일, 출산 후 60일 확보가 필수이며, 지급 산식은 동일하되 상·하한액이 적용됩니다.

Q. 휴가 일부만 사용했어요.
A. 사용일수에 비례해 지급되나, 법정 최소 배정(출산 후 45일/다태아 60일) 미충족 시 제한될 수 있습니다.

Q. 회사가 먼저 주고 정부가 사후지원하나요?
A. 대규모기업은 최초 60일(다태아 75일) 유급의무가 사업주 부담, 마지막 30일(45일)은 정부 지원입니다. 우선지원대상기업은 전기간 정부가 상한 내 지원합니다.

출산 휴가급여 신청 자주 묻는 질문
출산 휴가급여 신청 자주 묻는 질문, 얼마나 받을 수 있나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하러 가기

안내: 본 문서는 2025년 기준 공개된 정부 안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별 평균임금·근로형태·사업장 규모 등에 따라 지급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 최종 판단은 관할 고용센터의 심사에 따릅니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